본문 바로가기

영상콘텐츠/추천역사물

태양왕 루이 14세, 드라마 《베르사유 (Versailles)》

728x90
반응형

👑 부르봉 가문과 프랑스 절대왕정

출처: 위키피디아

1589년, 프랑스 왕국은 하나의 분기점을 맞는다. 수십 년간 이어진 종교 내전과 피로 얼룩진 발루아 왕조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가문 부르봉(Bourbon)이 왕위에 오른 것이다. 이 왕조의 시작은 단순한 왕좌의 교체가 아니라, 절대왕정의 도래이자 프랑스 역사상 가장 극적이고 화려했던 시대의 서막이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앙리 4세. 그는 위그노(개신교도)였지만, 프랑스 왕국의 안정을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하며 이렇게 말했다. “파리는 미사를 드릴만한 가치가 있다.” 이 한 문장은 그가 선택한 정치의 본질을 보여준다. 신념보다 실용, 분열보다 통합. 낭트 칙령으로 종교의 대립을 봉합하고, 국왕의 권위를 되살린 그는 근대 프랑스의 첫 설계자가 되었다.

 

그 뒤를 이은 루이 13세는 조용한 왕이었지만, 리슐리외 추기경이라는 위대한 정치가를 통해 중앙집권 체제를 공고히 했다. 왕권은 귀족의 견제를 넘어 국가 운영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고, 프랑스는 유럽 정치의 강자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출처: 위키피디아

 

그리고, 마침내 등장한 인물, 루이 14세, 태양왕(Le Roi Soleil). 그는 국왕의 권위를 신성시하고, 예술과 건축, 의례와 이미지 정치를 총동원하여 왕권을 신으로 격상시켰다. 그의 명언 “국가는 곧 나다(L'État, c’est moi).” 는 단지 허언이 아니었다. 베르사유 궁전은 그의 통치 철학을 상징하는 무대였고, 프랑스는 그 빛 속에서 화려하게 타올랐다.

 

그러나 찬란한 태양 아래에도 그림자는 드리운다. 과도한 전쟁, 사치, 짓눌린 농민과 중산층, 신앙의 억압(위그노 박해)은 곧 민심을 멀게 해 프랑스 혁명의 불씨가 되었고, 그의 손자 루이 15세는 무기력했고, 루이 16세는 위기를 감당하기에 너무나 순박했다.

 

그렇게 루이 14세가 세운 절대왕정의 금빛 기둥은, 루이 16세의 시대에 프랑스 대혁명의 분노 앞에 무너진다. 1789년, 국민이 봉기했고 1793년, 왕은 단두대 위로 올라갔다.

 

루이 14세의 죽음으로부터 정확히 78년 뒤, 부르봉 왕조는 무너졌고, 프랑스 왕권은 피로 사라졌다.


🎬 드라마 정보

 

베르사유(Versailles, 2015)

 

Versailles (베르사유)는 프랑스 절대왕정의 상징인 태양왕 루이 14세의 통치를 중심으로, 권력, 음모, 사랑, 배신이 궁정 안에서 어떻게 얽혀 있었는지를 매혹적인 영상미와 드라마틱한 서사로 그려낸 역사 드라마 시리즈입니다. 화려한 궁정 미쟝센과 야망의 대립을 통해 왕의 권력과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충돌하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 제작: 사이먼 미르렌 (Simon Mirren), 데이비드 월킨스 (David Wolstencroft)
  • 방영 시작: 2015년 11월 (시즌 1 첫 방영)
  • 국가: 프랑스 / 캐나다 / 영국
  • 제작사: Capa Drama, Banijay Studios France, Canal+
  • 장르: 역사 드라마 / 정치 스릴러 / 로맨스
  • 시청 등급: 18세 이상 시청가 (성적 묘사 및 폭력 포함)
  • 포맷: 총 3시즌, 30부작 (시즌당 10화, 회당 약 52분)
  • IMDb 평점: ★ 7.9 / 10
  • Rotten Tomatoes: 평론가 점수 없음 / Audience Score 약 87%

 

📌 시리즈 구성

 

🏰 시즌 1 (2015) – 베르사유의 시작

  • 루이 14세(28세), 베르사유 궁전을 건축하며 왕권 강화 계획 착수
  • 귀족들의 반발, 궁정 내 음모, 친동생 오를레앙 공 필리프와의 갈등
  • 루이의 정부 몽테스팡 부인, 어머니 안 도트리슈의 죽음 등 심리적 외로움
  • 베르사유를 중심으로 귀족을 통제하려는 '절대왕정' 건축의 시작

🎯 주제: 왕권 vs 귀족 / 베르사유의 정치학 / 권력과 형제애


🏰 시즌 2 (2017) – 그림자 속에서 피어나는 권력

  • 베르사유가 완성되면서 왕의 정치적 통제력이 극대화
  • 그러나 궁정 내 음모도 정교해짐: 목사의 복수극, 독살 사건, 가면무도회의 이면
  • 루이의 정적들, 왕의 아이를 낳으려는 궁녀들, 그리고 로마 교황청과의 마찰
  • 종교적 갈등도 드러남 (위그노 박해 전조)

🎯 주제: 절대권력의 균열 / 인간적 고뇌 / 독살 스캔들과 여성 권력


🏰 시즌 3 (2018) – 태양왕의 황혼

  • 베르사유의 절정기, 하지만 내부의 배신과 회의, 종교 탄압, 민중의 불만 고조
  • 낭트 칙령 폐지(1685)를 암시하는 위그노 탄압 묘사
  • 루이와 아들의 갈등, 궁정 내 파벌 전쟁
  • 루이의 상실감, 친구들의 배신, 절대왕정의 외로움 강조

🎯 주제: 권력의 본질 / 절대왕정의 그림자 / 왕으로 산다는 것의 대가

 

→ 넷플릭스 구독 후 감상 가능

베르사유 예고편

🎭 주요 출연진

배우명 배역명 배역 설명
조지 블래그든
George Blagden
루이 14세
King Louis XIV
프랑스 태양왕, 베르사유 궁전을 중심으로 절대왕정을 구축한 주인공
알렉산더 블라호스
Alexander Vlahos
필리프 1세
오를레앙 공
Philippe I, Duke of Orléans
루이 14세의 동생, 군사적 재능과 동성애자로서의 복잡한 내면을 지닌 인물
타이 러니언
Tygh Runyan
파비앙 마르샬
Fabien Marchal
루이의 비밀경찰 수장, 궁정 내 암살과 음모를 추적
안나 브루스터
Anna Brewster
몽테스팡 부인
Madame de Montespan
루이 14세의 애첩이자 궁정 내 실세, 정치적 영향력도 지님(공식정부)
노에미 슈미트
Noémie Schmidt
잉글랜드의 앙리에트
(헨리에타 앤)
Henriette of England
동생 필리프의 아내, 루이와도 감정적 긴장선을 형성하는 인물(잉글랜드 찰스 2세의 여동생)
에반 윌리엄스
Evan Williams
셰발리에 로렌
Chevalier de Lorraine
필리프의 연인, 귀족 출신으로 궁정 내 정치적 음모의 중심 인물
엘리사 라소스키
Elisa Lasowski
마리 테레즈 왕비
Queen Maria Theresa
루이 14세의 왕비, 스페인 공주 출신으로 정치적으로는 주변화된 인물
스튜어트 보우먼
Stuart Bowman
알렉상드르 봉탕
Alexandre Bontemps
루이의 충직한 하인 겸 의전 책임자, 궁정 내 권력 중재자
스티브 커민
Steve Cumyn
장바티스트 콜베르
Jean-Baptiste Colbert
루이의 재무장관, 경제 정책과 중앙집권화의 실무 총책
매튜 맥널티
Matthew McNulty
보몽 신부
Father Pascal / Father Etienne / Père Ambroise
시즌 2~3 핵심 인물, 교황청 대리인으로 궁정 내 종교 갈등을 유발
캐서린 워커
Catherine Walker
맹트농 부인
Madame de Maintenon
루이 14세의 마지막 애첩이자 비밀 결혼 상대, 신앙과 절제의 상징

👤 주요 등장인물 (시즌 전반)

인물 설명 배우
루이 14세 태양왕, 베르사유의 건설자 조지 블래그든 George Blagden
필리프 오를레앙 공 루이의 동생, 동성애자로 복잡한 내면 알렉스 비야옹 Alexander Vlahos
몽테스팡 부인 루이의 정부, 궁정 내 영향력 있는 여성 안나 브루스터 Anna Brewster
보몽 신부 시즌 2~3 핵심 인물, 교황청 대리 매튜 맥널티 Matthew McNulty
마담 드 맹트농 루이의 후반기 비밀 왕비 역할 캐서린 워커 Catherine Walker

🕸️ 인물 관계도 (시즌 1–3 요약)

 

1. 왕실 핵심 가문 구조

  • 루이 14세
    → 프랑스 국왕, 태양왕
    마리 테레즈 왕비 (정식 왕비, 스페인 공주)
    몽테스팡 부인 (정부, 왕의 애첩 → 다수 자녀 출산)
    맹트농 부인 (후기 정부 → 은밀한 왕비 역할)
  • 필리프 오를레앙 공
    → 루이 14세의 남동생
    앙리에트(잉글랜드의 헨리에타-오를레앙 공작부인) (정식 아내, 영국 출신 공주)
    셰발리에 드 로렌 (연인, 궁정 내 정치적 영향력 행사)

2. 권력과 정치 세력 관계

  • 파비앙 마르샬 (비밀경찰 수장)
    → 루이의 명령을 받아 암살, 첩보, 숙청 담당
    루이 14세에게 절대 충성
    보몽 신부와 대립 (종교 권력의 침투와 첩자)
  • 콜베르 (재무장관)
    → 루이의 경제 정책 실무 담당
    보몽 신부와 대립 (세속 정치 vs 종교 권력)

3. 종교 세력 대립

  • 보몽 신부 (Father Pascal)
    → 교황청에서 파견된 고위 성직자
    ↔ 루이 14세와 종교 권한을 놓고 긴장
    마담 드 맹트농과 동조 (신앙 중심 궁정 개혁)

4. 사랑과 질투의 축

  • 루이 14세
    앙리에트 (동생 필리프의 아내): 감정적 유대, 삼각관계 형성
    몽테스팡 부인과의 격정적인 관계 → 궁정 내 질투와 음모 유발
    맹트농 부인과의 영적인 유대 → 후기엔 냉정하고 경건한 분위기로 전환
  • 필리프 오를레앙
    ↔ 셰발리에와의 관계에 따라 권력 게임 속 감정적 약점 드러남

5. 궁정 내 정보전·음모의 연결고리

  • 봉땅 (Bontemps) – 루이의 충실한 하인이자 내밀한 정보를 조율
  • 궁녀들 – 왕의 아이를 낳거나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암투
  • 정적 귀족들 – 왕권 강화에 반발하며 독살과 반란 기도

👑 프랑스 왕가 가계도

(부르봉 왕조 Bourbon)

프랑스 부르봉 왕조 가계도 (발루아 왕조 말기 이후)


👑 부르봉 왕조 국왕 연표 (1589–1830)

국왕 출생/사망 재위기간 주요 특징
앙리 4세
Henri IV
1553–1610 1589–1610 부르봉 왕조 창시자, 낭트 칙령(1598)으로 종교화합
루이 13세
Louis XIII
1601–1643 1610–1643 리슐리외 추기경과 함께 중앙집권 체제 강화
루이 14세
Louis XIV
1638–1715 1643–1715 ‘태양왕’, 절대왕정 확립, 베르사유 건축
루이 15세
Louis XV
1710–1774 1715–1774 장기 재위, 귀족 향락화와 계몽주의 부상
루이 16세
Louis XVI
1754–1793 1774–1792 프랑스 혁명 중 폐위, 단두대 처형 (1793)
공화국·제1제정기 - 1792–1814 왕정 중단: 공화정·나폴레옹 시대
루이 18세
Louis XVIII
1755–1824 1814–1824 (1815 제외) 부르봉 왕정 복원 (왕정복고 1기), 보수주의 회귀
샤를 10세
Charles X
1757–1836 1824–1830 절대주의 회귀 시도, 7월 혁명으로 퇴위 → 부르봉 왕조 몰락

👑 태양왕, 루이 14세가 남긴 프랑스 문화 유산 

 

 1. 베르사유 궁전과 궁정 문화

  • 베르사유 궁전은 단지 건축물이 아니라 왕권의 시각적 상징
  • 유럽 궁정 문화의 모델이 됨 → “베르사유 스타일”, “루이 14세 스타일”로 불림
  • 궁정 의전, 의복, 언어, 예절이 프랑스 귀족 문화의 정형화를 이끔
  • 197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2. 국가 주도의 예술 제도: 아카데미 시스템

  • 예술과 학문을 왕실 주도로 공식 제도화 → 근대 문화 행정의 시초
  • 대표 기관:
    • 아카데미 프랑세즈 (프랑스어 문법과 문학 표준화)
    • 왕립 회화·조각 아카데미, 무용 아카데미, 음악 아카데미
  • 문화가 사적 후원에서 공적 권력으로 이동한 계기

3. 프랑스 오페라와 발레의 정립

  •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와 함께
    프랑스식 오페라(트라제디 리리크) 탄생
    발레를 왕실 중심 무용극으로 정형화 → 이후 유럽 궁정 예술의 표준
  • 궁정 무용 → 발레 드 쿠르(Ballet de Cour) → 고전 발레로 발전

4. 프랑스 고전주의 예술

  • 루이 14세 치세는 프랑스 고전주의의 황금기
  • 대표 예술가:
    • 몰리에르 (희극) – 궁정 연극의 아버지
    • 라신 (비극)
    • 르브룅 (회화) – 베르사유 내부 장식 담당
  • 이후 프랑스 예술은 “고전주의”의 이름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음

5. 프랑스어의 국제 공용어화

  • 궁정 언어와 문서, 외교용어로 프랑스어 통일
  • 루이 14세 시기 이후, 프랑스어는 유럽 외교의 공식 언어로 자리잡음 (19세기 중반까지 지속됨)
  • “문명어”로서의 프랑스어의 위상 정립

 6. 프랑스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 루이 14세 시대에 하이패션의 중심지로서 파리의 위상 강화
  • 왕실이 계절마다 신복을 하달 → 귀족 사회의 트렌드화 시작
  • 향수, 가발, 레이스, 하이힐 등… 근대 유럽 궁정 패션의 표준 제시

✨ 그외 부르봉 왕조가 남긴 프랑스 문화 유산 

 

1. 프랑스 철학과 계몽사상의 기초 (루이 15세 시대 이후)

  • 부르봉 말기, 왕권의 강경함 속에서도 계몽주의 지식인 집단 성장
  • 볼테르, 루소, 디드로, 몽테스키외 등 프랑스 계몽 사상가의 등장
  • → 루이 16세 시기에는 왕권의 위기를 예고하는 철학적 기반이 됨

📌 유산:

  • 프랑스 혁명사상의 지적 배경
  • 인권 선언(1789), 민주주의 철학의 출발점

2. 패션과 미식 문화의 유럽화

  • 베르사유 궁정 중심의 고급 의복, 장식, 향수, 식사 예절 정착
  • 마리 앙투아네트 시대: 파리와 베르사유가 글로벌 럭셔리의 상징
  • 프랑스 음식과 와인 문화의 궁정 전통화

📌 유산:

  • 프렌치 하이패션(French haute couture)의 기원
  • 미슐랭이 아닌 미식과 미의식의 감각 자체를 제도화

✨ 부르봉 왕조의 문화 유산 요약

분야 유산 내용 대표 인물/사례
궁정문화 베르사유 궁전, 궁정 생활 시스템 루이 14세
예술 고전주의 문학·회화·오페라 몰리에르, 륄리
제도 아카데미 설립, 예술·언어 국가관리 아카데미 프랑세즈
철학 계몽사상의 토대 루소, 볼테르
패션·미식 궁정 패션, 프랑스 식문화 국제화 마리 앙투아네트 시대

🕰️ 부르봉 왕조 시대 흐름 타임라인

& 루이 14세~16세 중심 연표

 

📜 주요 사건 연대기

연도 사건 군주/왕실 인물 주요 내용 및 문화 유산
1589 부르봉 왕조 시작 앙리 4세 낭트 칙령(1598), 종교 화합과 근대 프랑스 통치 개시
1610 앙리 4세 암살,
루이 13세 즉위
루이 13세 리슐리외 추기경의 중앙집권, 국가 체제 정비
1643 루이 14세 즉위 루이 14세 (4세) 마자랭 추기경 섭정, 태양왕 시대 서막
1661 마자랭 사망,
루이 14세 친정 시작
루이 14세 베르사유 궁 건설 시작, 절대왕정 체제 확립
1670–1690s 궁정 문화 황금기 루이 14세 몰리에르, 륄리, 르브룅 활동 – 고전주의 미학 정점
1685 낭트 칙령 폐지 루이 14세 위그노 박해 강화, 민중 불만 고조
1715 루이 14세 사망 루이 15세 (증손자) 루이 15세 즉위, 섭정 체제 시작 (필리프 2세 오를레앙 공)
1720–60s 루이 15세 치세 루이 15세 궁정 예술 쇠퇴, 귀족 향락화, 계몽사상 성장
1774 루이 16세 즉위 루이 16세 재정 파탄, 개혁 시도 실패, 혁명 전야 분위기 고조
1789 프랑스 혁명 발발 루이 16세 삼부회 소집, 바스티유 함락, 왕권 무력화
1793 루이 16세 처형 부르봉 왕조 1기 종결, 프랑스 공화국 수립

👑 루이 14세 (1638-1715, 최장기 재위 1643–1715, 72년)

  • 1661: 친정 시작 → 베르사유 궁전 중심 궁정문화 정립
  • 1670s~80s: 고전주의 황금기 – 몰리에르, 라신, 륄리, 르브룅 등 활약
  • 1685: 낭트 칙령 폐지 → 위그노 탄압과 민중 불만
  • 1715: 사망 → 증손 루이 15세에게 왕위 승계

👑 루이 15세 (1710-1774, 재위 1715–1774)

  • 1720s: 오를레앙 공 섭정 → 루이 15세 친정 시작
  • 1730s~50s: 화려한 궁정과 향락, 왕권 약화
  • 1760s: 계몽주의 확산 → 루소, 볼테르, 디드로 활동

👑 루이 16세 (1754-1793, 재위 1774–1792)

  • 1780s: 재정 위기 심화, 개혁 실패
  • 1789: 프랑스 혁명 발발 → 왕권 실질 붕괴
  • 1793: 루이 16세 단두대 처형 → 부르봉 왕조 1기 종료

✨ 루이 14세 시대의 살롱 문화(Salon Culture)

 

‘살롱’은 상류층 여성들이 주도한 지적 사교 공간으로, 귀족의 거실이나 응접실(salon)에서 문학, 철학, 정치, 예술에 대해 토론하고 발표하는 공적 사적 공간이었습니다. 궁정의 권위와는 달리, 살롱은 토론, 재치, 지성, 감수성이 중심이 되었으며, 여성이 문화의 큐레이터이자 사회적 촉진자로 활약할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체제 하에서, 궁정은 강력한 권력 중심지였으나,
    반대로 파리에서는 궁정 바깥의 지식 공동체가 자생하며 살롱이 확산되었습니다.
  • 살롱은 처음엔 귀족 여성이 친구들과 문예 대화를 나누는 자리였으나,점차 시인, 철학자, 예술가, 정치인들이 모여 사상의 교류장이 되었습니다.

👩 주요 살롱니에르 (여성 살롱 운영자)

주요 인물 설명
마담 드 라파예트
Madame de La Fayette
소설 <클레브 공작부인 La Princesse de Clèves> 저자, 루이 14세 시대 대표적 지성 여성
마르그리트 드 라 사블리에르
Marguerite de la Sablière
철학 토론 중심의 살롱 운영(프랑스 시인 장 드 라 퐁텐의 친구이자 후원자)
마담 드 스튀엘
Madame de Staël
(나폴레옹 시대) 계몽주의 시기를 잇는 살롱 문화의 대모격 인물
대표 저작: <독일에 관하여 (De l'Allemagne)>, <문학에 관하여 (De la littérature)>
마담 드 세비녜
Madame de Sévigné
딸에게 보낸 편지로 유명, 살롱과 편지 문학의 경계를 허문 인물
세비녜의 편지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화자의 할머니와 그녀가 죽은 후 그의 어머니가 가장 좋아하는 책으로 묘사됩니다. 세비녜는 손튼 와일더의 소설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에서 마리아 마르케사 드 몬테마요르의 모델입니다.
→ 프랑스 영화 Madame de Sévigné(2024) 감상 추천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추천

영화, Madame de Sévigné (2024)

 

  • 감독: 이자벨 브로카르(Isabelle Brocard)
  • 각본: 이자벨 브로카르, 이브 토마(Yves Thomas)
  • 출연:
    • 카린 비아르(Karin Viard) – 마담 드 세비녜
    • 아나 지라르도(Ana Girardot) – 프랑수아즈 드 세비녜
    • 세드릭 칸(Cédric Kahn) – 그리냥 백작
    • 노에미 르보브스키(Noémie Lvovsky) – 마담 드 라파예트
    • 로뱅 르누치(Robin Renucci) – 라 로슈푸코
  • 장르: 역사 / 드라마
  • 상영 시간: 93분
  • 제작국가: 프랑스
  • 개봉연도: 2024년 (프랑스)
  • 제작사: The Film, France 3 Cinéma, Ad Vitam, Orange Studio 등

 

 


📚 살롱에서 다뤄진 주제

  • 문학 낭독과 비평 (소설, 시, 희곡)
  • 정치적 사건에 대한 토론 (왕정과 신흥 계급의 긴장 등)
  • 철학적 대화 (도덕, 종교, 여성의 역할)
  • 예술 비평 및 작가 발굴 (신예 작가 소개 등)

🎯 당시에는 ‘기품 있는 대화(esprit)’, ‘기지(wit)’가 최고의 미덕으로 여겨졌습니다.


✨ 살롱 문화의 의의

 

“루이 14세의 궁정이 절대 권위를 상징했다면, 살롱은 지성과 감성, 그리고 여성의 말이 권위를 얻던 공간이었다.”
살롱 문화는 프랑스를 ‘문화국가’로 만든 또 하나의 조용한 혁명이었다.

요소 의미
🧠 지성 중심 궁정과 다른 자유로운 비판과 사유의 공간
👩 여성의 역할 여성들이 사상의 조율자, 문화 후원자로 활동
📚 계몽사상 전초기지 이후 볼테르, 루소, 디드로 등도 살롱에서 성장
💬 언어 세련화 프랑스어의 우아하고 정제된 대화체 확산에 기여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추천

 

1. 영화 / 왕의 춤 (The King Is Dancing, 2000)

 

→ 왓챠 또는 웨이브에서 감상 가능

🎬 감독 제라르 코르비오 (Gérard Corbiau)
📆 개봉 2000년 (벨기에/프랑스 합작)
🏰 배경 루이 14세 초기 재위기, 궁정 예술 황금기
🎼 주제 궁정 음악, 무용, 권력의 미학과 통제
⭐ 특징 베르사유 궁전의 시각미, 고전음악 재현, 예술과 정치의 교차

 

🧭 줄거리 요약

프랑스의 궁정예술과 절대왕정의 정점을 보여주는 역사 예술 영화로, 17세기 프랑스, 14살의 어린 왕 루이 14세와 이탈리아 출신 음악가 장 바티스트 륄리(Jean-Baptiste Lully)의 관계를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어린 루이 14세는 권력을 확립하는 데 예술을 적극 활용합니다. 그는 뛰어난 이탈리아 출신 작곡가 장 바티스트 륄리를 발탁해, 궁정 발레와 음악을 통해 왕의 위엄과 존재를 표현하게 합니다. 륄리와 루이는 단순한 후원자-예술가 관계를 넘어서 정치적 파트너십을 형성하지만, 궁정 내 갈등, 권력 다툼, 예술가의 욕망이 점차 균열을 일으키기 시작하며 예술과 권력의 충돌이 벌어집니다.


 

2. 영화 / 페어웰, 마이 퀸 (Farewell, My Queen, 2012)

 

→ 왓챠,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에서 감상 가능

🎬 감독 브누아 자코 (Benoît Jacquot)
📆 개봉 2012년 (프랑스)
🏰 배경 1789년, 프랑스 혁명 발발 직후 베르사유 궁전
🎭 장르 역사/드라마/심리극
📖 원작 쉰델레르(S. Thomas)의 동명 소설 기반

 

🧭 줄거리 요약

주인공 시도니 라보르드(Sidonie Laborde)는 마리 앙투아네트의 책 읽어주는 하녀이자 열렬한 숭배자. 1789년 7월, 바스티유 감옥이 습격당하면서 궁정은 패닉에 빠지고, 귀족들과 하녀들은 하나둘 베르사유를 떠납니다. 하지만 시도니는 왕비 곁을 지키려 하고, 마리 앙투아네트의 혼란·불안·고립을 곁에서 지켜보며 자신도 내면의 혼란에 빠집니다. 영화는 앙투아네트의 실질적 연인으로 알려진 폴리냑 부인과의 미묘한 감정선, 궁정 내 파벌과 몰락의 분위기를 사실적이고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이 영화는 프랑스 대혁명 발발 직전, 마리 앙투아네트의 베르사유 궁정 붕괴를 하녀의 시선으로 그려낸 역사 심리 드라마입니다. 화려함의 끝에서 불안과 혼란으로 무너지는 왕정의 모습을 지극히 내밀한 감정의 언어로 담아낸 작품입니다.


 

3. 영화 / 마리 앙투아네트 (Marie Antoinette, 2006)

 

 

→ 왓챠, 웨이브(개별구매), 쿠팡플레이(개별구매)에서 감상 가능

🎬 감독 소피아 코폴라 (Sofia Coppola)
📆 개봉 2006년 (미국 / 프랑스)
🏰 배경 1770년대 ~ 1790년대, 베르사유 궁전
🎭 장르 전기 / 역사 / 음악 드라마
🎵 특징 18세기 배경에 1980년대 뉴웨이브 사운드 삽입 (더 큐어, 뉴오더 등)

 

🧭 줄거리 요약

오스트리아 황제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커스틴 던스트)는 프랑스-오스트리아 동맹의 상징으로 루이 16세와 정략결혼하며 베르사유에 입궁합니다. 하지만 그녀는 낯선 언어, 고립된 궁정 예절, 무관심한 남편과 맞서며 점차 사치, 파티, 패션, 도피적 삶에 몰두하게 됩니다. 영화는 그녀가 겪는 심리적 소외, 사랑, 무기력, 탈출의 욕망을 감각적으로 그려내며, 왕비가 아닌 한 인간으로서의 앙투아네트를 조명합니다.

 


4. 넷플릭스 시리즈 / 라 레볼뤼시옹 (La Révolution, 2020)

 

 

→ 넷플릭스에서 감상 가능

🎬 제작 넷플릭스 프랑스 오리지널
📆 방영 2020년 10월 (총 8부작, 시즌 1 한정)
🎭 장르 역사 판타지 / 스릴러 / 호러
🗺️ 배경 1787년, 프랑스 대혁명 직전 (루이 16세 시대 전야)
🧬 핵심 설정 ‘푸른 피(Blue Blood)’에 감염된 귀족들이 피를 갈망하며 변이된 괴물처럼 변해간다는 가상의 전염병 가설

 

🧭 줄거리 요약

혁명 직전의 프랑스. 지방 귀족들이 잔혹하게 살해당한 시체들이 발견됩니다. 조제프 기욤 드 몽살리 (Joseph Guillotin)는 그 사건을 조사하던 중, ‘푸른 피’를 가진 귀족들이 인간을 공격하고 있다는 비밀을 알게 됩니다. 귀족들은 이 신비한 병에 감염돼 초인적인 힘과 폭력성을 지닌 존재로 변하고, 이를 통해 계급 질서를 유지하려 합니다. 이에 맞서는 젊은 민중들, 그리고 ‘저항’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면서, 프랑스 대혁명의 물리적 기원 대신 심리적·신화적 원인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사가 전개됩니다. (실제 역사(1789년 프랑스 혁명)와는 설정만 공유, 전개는 완전한 재창작)


 

반응형